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간이 신속 미생물 검사법의 개발동향

전문가 제언
○ 최근, 구제역, 광우병, 등이 문제가 되는 등 식품의 안전성과 건전성에 국민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식품의 안전성과 건전성을 확보하고 식중독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높이 평가를 받고 있고, FAO/WHO가 권장하는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의 활용이 식품 위생관리의 국제적인 추세가 되고 있다.

○ 식품제조 공정 중에서, 세정도(洗淨度)를 확인하고 싶거나 제품의 가열살균공정이 정상인지 판단하고 싶다거나 분리된 미생물이 식중독균인지 판단하고 싶을 때, 이러한 확인 작업은 업무상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위생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검사관리 항목을 늘려야 만하는 데, 이러한 노력과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간이 신속 미생물 검사법의 개발이 매우 필요하다.

○ 식중독균 검출은 균종을 동정하기 때문에 미생물검사 중에도 그 기술적 요구는 상당히 높은 전문적·경험적 판단이 요구된다. 더욱이 식중독균 검출에는 적어도 4일 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식중독균 검출에 가장 요구되는 것은 기술이 다소 어려워도, 고감도로 신속하게 특이성이 높게 검출하는 것이 노동력의 삭감 이상으로 최우선이 된다.

○ 배양법의 전처리로, 검체의 채취, 희석, 분주(分注), 균질화, 한천 배지작성, 배지로의 검체의 혼석(混?) 등이 필요한데, 이들의 처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기기로, 자동희석분주장치, 균질화기, 배지작성 장치, 자동균액 도말(塗抹)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 종래의 배양 후의 콜로니 계측이 아닌, 별도의 지표로 신속하게 생균을 계측하기 위한 기기인 자동 생균수 측정기기·키트로는, 세포내의 ATP를 지표로 한 바이오 발광법, 형광제로 표식한 생균세포를 화상으로 보는 형광염색 화상법, 미생물의 대사에 따른 pH변화나 CO₂를 표식 색소의 색조변화로 파악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다.


저자
Editorial departmen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46(1)
잡지명
食品と開發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1~49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