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X-선 방출 공생별의 특징
- 전문가 제언
-
○ 천체물리학에서 "별의 광도(luminosity)는 무엇에 의하여 결정되는가"를 음미하고 특히, 비전문가를 위하여 그 결정방법을 다음에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별은 완벽한 흑체(black body)가 아니기 때문에, 방사도(emissive power) J ? σT4로 표현되며 Stefan-Boltzmann상수 σ = 5.67×10-8 W?m-2?K-4 에서 단위는 국제표준단위(SI)이다. 따라서 별의 표면적 4πR2을 고려하면, 별의 광도 L ? 4πR2σT4 이다. 여기서, R: 별의 반경, T: 표면온도.
○ "ROSAT All-Sky Data"는 비전문가를 위한 안내지침으로서 2000년3월에 MPE(Max-Planck-Institut Extraterrestrische Physik)에 의하여 일반천문학계에 공개되었다. ROSAT(R?ntgensatellit)는 독일-미국-영국의 협력프로그램으로 개발된 X-선관측위성(1990~1999)이며 그 임무가 종료된 상태이다. 그러나 천체연구에서 본 데이터는 현재 MPE archive와 미국 GSFC의 HEASARC archive에서 받아 볼 수 있다는 것을 제의한다. 여기서, GSFC: Goddard Space Flight Cnter, HEASARC: High Energy Astrophysics Science Archive Research Center.
○ I. Newton의 망원경을 사용한 INT광계측Hα조사(IPHAS)에서 Hα(Halpha)필터의 천문학적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Hα필터는 우리은하계에서 성운을 관측하기 위한 필터로서 수소전자가 그 세 번째의 에너지 준위에서 두 번째의 가장 낮은 에너지 준위로 떨어질 때 방출하는 656.28nm의 파장 λ를 갖는 광자에 의하여 만들어 지는 특유의 적색가시스펙트럼선이다. 여기서, 광자에너지 ΔE = hc/λ 이고 Planck상수 h = 6.626×10-34J?s, 광속 c = 3.0×108m/s 이다.
○ 미국 Smithonian/NASA Astrophysics Data System에 의하면, GRXE의 전체 경X-선 광도 L = (3.7±0.2)×1030J/s 이고 본 논문에서 Sazonov 등(2006)이 추정한 불연속 선원의 지역 광도밀도에 대하여 공생별을 포함한 우리은하계의 모든 항성모집단의 광도의 기여도는 L = ~2×1031J/s 이다. 여기서, "두 개 L수치의 차이가 의미하는 것은 과연 무엇인지"를 국내 천체물리학 분야의 연구계에서 규명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저자
- R.N.C. Ez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47
- 잡지명
- Advances in Space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999~2003
- 분석자
- 황*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