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하드페이싱 합금의 제조방법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에서는 내연삭성 합금을 코팅함으로써 낮은 마찰계수과 우수한 내연삭성을 갖는 산업제품용 하드페이싱 합금의 제조기술을 확립하였다. 특히 내연삭성과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산업제품 표면의 사용 수명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향후 활용가능성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본 발명에 의한 하드페이싱 합금은 실제적으로 균열이 발생되지 않으며 단독으로 코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하드페이싱 처리된 합금(예, 탄화텅스텐 증착)의 표면에도 단층 혹은 이중층으로 코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본 발명은 값비싼 금속원소인 크롬, 니켈을 다량으로 첨가시키기 않고 탄소와 보론을 주요 합금원소로 이용하였으며, 용접후열처리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 종래의 고Cr-Fe계 하드페이싱 합금은 Cr탄화물의 미세조직을 가진 공정 혹은 과공정(hyper-eutectic)형의 조직을 갖추고 있어 높은 내연삭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취성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보론과 탄소를 이용한 본 발명의 하드페이싱 합금은 붕소화물을 가진 미세한 오스테나이트 상과 마르텐사이트 상의 공정 혹은 아공정(hypo-eutectic) 모드를 추구하고 있어 균열발생이 거의 없다는 것이 큰 차이점이다.
○ 내연삭성 평가는 ASTM G65 dry sand 시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내부식성을 가미한 국내 평가기술체재의 확립이 필수적이다.
○ 향후 국내 정유사들의 석유화학, 정유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석유와 가스를 채취하기 위한 유전 관련 시추(boring) 장치(공구 이음부, 드릴칼라, 드릴스트링에 사용되는 안정화 장치 등)과 같은 제조기술의 정착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시점에 본 발명과 같은 하드페이싱 관련 신기술을 국내기술로 정착시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ATT TECHNOLOGY, LTD.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147726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2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