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기폭풍이 초고층대기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DST는 세계적인 자기폭풍 수준을 나타내는 지자기 지수이다. 특히, DST는 "Disturbance storm time"을 의미하며 "DST<0"는 진행 중에 있는 자기폭풍을 나타낸다. 여기서, 자기폭풍을 다음과 같이 분류해 본다: 초강급: DST<-200nT, 강급: -200nT<DST<-100nT, 중급: -100nT< DST<-50nT, 약급: -50nT<DST<-30nT 등이다.
○ 불변위도(invariant latitude) Λ는 특정의 자기장 내의 자기력선이 지구표면에 닿는 곳을 나타내는 인자이며 식 Λ=cos-1(1/L)로 표현된다. 여기서, L은 논의되고 있는 자기력선을 나타내는 L-각의 값이다. L-값은 지구 자기장의 자기쌍극자 모델을 사용하여 1.5, 2, 3, 4 및 5이다. 특히, 지구 표면에서는 불변위도가 자기위도 λ와 동일하다.
○ 세계적으로 지자기관측소가 100개 이상이 산재해 있다. 지구자기장의 장기간 변동을 조사-연구하는 것은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지구자기장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측정-조사하는 연구는 지구의 초고층대기에서 일어나는 현상 및 영향에 관한 분석-평가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국내에서 천문-우주분야 연구 활성화의 필요성을 역설하지 않을 수 없다.
○ 우주공간에서 위성은 일정한 궤도주기를 갖고서 타원궤도를 주행한다. 이 경우, 타원곡선의 특성상수로 이심률(eccentricity) e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즉, 타원궤도를 유지하려면, e 값의 범위가 0<e<1 이어야 됨을 강조한다. 여기서, e=[1?(b2/a2)]1/2, a: 장반경, b: 단반경이다.
○ NASA/DE-2 위성이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탑재하고 있었던 계측기기를 우주방사선 측정의 표준화 차원에서 다음에 제시한다: (1) 바람 및 온도분광계, (2) 이온편류계, (3) 벡터전장계측기, (4) 자력계, (5) 지연퍼텐셜분석계, (6) Langmuir 탐침, (7) 중립 대기구성분광계, (8) 저고도플라즈마계측기, (9) Fabry-Perot 간섭계 등이다.
- 저자
- Gustavo A.mANSILL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47
- 잡지명
- Advances in Space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930~937
- 분석자
- 황*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