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뇌에서 Notch신호전달
- 전문가 제언
-
○ Notch신호전달경로가 발생의 과정에 중요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성인뇌의 신경세포발생에 핵심적 조절자라는 사실은 최근에 알려졌다. 배아줄기세포의 연구가 윤리적 문제로 어려움을 격고 있음에 비하여 성체줄기세포의 연구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는 시점에 이 분야는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국내에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지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 특히 운동, 학습, 기억이 Notch신호전달을 통하여 성인뇌의 신경세포발생에 관여한다는 사실은 Notch가 여러 다른 신호전달 과정들을 통합하여 세포가 필요로하는 생리적 작용을 유도하도록 작용한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쉽게 말하자면 운동을 하고, 공부를 하고, 외우고 하는 행동은 결국 뇌신경을 활발하게 만들어내고 신경네트워크를 다양하게 하여 뇌의 퇴행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행동의 생화학적 작용에 Notch가 관여한다는 것이다.
○ 한편으로 Notch신호전달은 뇌종양인 glioma의 발생과 진행에 관련된다는 것이 알려졌다. 또 잘못된 Notch신호전달은 잘못된 EGFR신호전달을 유도하여 가장 악성종양인 glioblastoma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뇌종양들에 대한 분자메카니즘이 완전히 연구되어 있지는 않지만 Notch신호전달의 활성화를 방지하여 치료하고자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즉 γ-secretase의 저해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것의 기질이 60여개나 알려져 특이적 저해제의 개발이 필수적이나 진전이 있는 것은 다행한 일이다.
○ 우리나라의 합성화학이 상당한 수준임으로 γ-secretase저해제의 합성에도 노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또 항체를 이용하는 연구도 기대된다. 특히 항체는 다양하게 생성되고 그 활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으로 신약으로 개발하는데 유리할 수도 있다고 판단한다.
○ 성체줄기세포의 분화와 증식 등에 관한 Notch관련 기초연구의 필요성과 관련 신약개발의 노력이 기대된다.
- 저자
- Jessica L. Ables, Joshua J. Breunig, Amelia J. Eisch and Pasko Raki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12
- 잡지명
- Nature Reviews Neuro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69~284
- 분석자
- 김*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