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 터빈 발전기의 절연열화 및 관련된 전력전자 배열
- 전문가 제언
-
○ 부분방전이 가파른 상승전압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또 상승전압의 크기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부분방전의 변화 메커니즘은 단순히 전압준위나 부분방전의 크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형태의 전압 파형과 연계하여 나타나는 부분전압의 에너지를 조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 단일 측정 방법은 일관되게 절연계통의 조건을 드러낼 수는 없다. 부분방전 측정은 절연계통의 많은 약점을 밝힐 수 있음에도 절연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른 측정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더구나 부분방전의 추세 해석을 통하여 절연 상태에 관한 경고를 알아차릴 수 있지만 그것은 상세한 권선 절연에 관한 진단은 아니다. 고장 통계에 관한 상세한 연구와 더불어 진단측정과 기계의 자료해석을 결합하면 의문 상태에 있는 기계의 신뢰도에 대해서 만족스러운 평가를 내릴 수 있다.
○ 전력전자 배열은 주로 부가적인 전압 스트레스 때문에 기계의 절연에 문제를 일으킬지 모른다. 부분방전 진단 기술은 절연파괴를 야기하는 사건을 탐지하고 기록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절연열화를 기록하는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기대되는 절연수명을 예측하는 수단은 아니다.
○ 풍력터빈이 대형화되면서 어마어마한 소음과 경관 훼손,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가 불거졌고 주민들의 민원도 잇따랐다. 대안으로 주목한 것이 해상풍력이다. 바다에 풍력발전기를 세우면 용지 확보 걱정도 없으며 소음이나 생태계 훼손 우려도 적다. 무엇보다 육상에 비해 풍력이 2배 이상 강하기 때문에 훨씬 효율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 한국도 민관 합동으로 총 9조2000억 원을 투자해 서남해안에 2500MW 규모의 대단위 해상풍력단지를 개발해 2019년까지?세계 3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올라선다는 계획을 지난해 발표했다. 한국의 조선, 해상설비, 중장비 등 핵심 기술력을 잘 활용한다면 우리도 풍력 분야에서 세계 1위인 독일의 기술력을 금방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Michael G. Danika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1
- 권(호)
- 15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748~1752
- 분석자
- 유*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