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NKG2D 저해제에 의한 심혈관질환 및 제2형 당뇨병의 치료

전문가 제언
○ 제2형 당뇨병은 비만형과 비비만형으로 나누며 약 90%를 차지한다. 당뇨병이 인간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그 특유한 만성합병증인 당뇨병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신경장해가 주체가 되며 아울러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 2005년도 생물활성 보고서들에 의하면 제2형 당뇨병의 위험요소로서 혈당조절기전, 인슐린저항성, 당뇨병의 진전에 따른 심혈관계 질환인 각종 합병증의 진행가능성이 검토되었으며 그 합병증인 심장혈관질환의 진단, 유전성, 고혈당증의 병태생리, 인슐린저항성, 비만, 수용체, 지방 특이성 adiponectin, 유전적요인, β-세포기능장해, 항 당뇨약물기전, 당뇨병 예방 등이 거론되었다.

○ 최근에 암 면역학자들에게 특히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lectin-like NKG2D homo-dimer이다. NKG2D는 phosphatidyl inositol 3 kinase (PI3K)의 촉진제인 DAP10분자와 결합하여 혼합체를 이루는데 이렇게 혼합체를 이룬 수용체는 NK, γδ T 세포, 그리고 macrophage와 같은 여러 면역세포들에서 발현된다.

○ NKG2D-DAP10 혼합체는 구조적으로 MHC class I과 다른 다수의 리간드와 결합하는 것이 증명되었고, MHC class I chain (MIC)과 연관된 당단백질인 MICA, MICB, 그리고 Rae-1등이 대표적인 리간드로 밝혀졌다.

○ 현재 활용되고 있는 여러 당뇨 약들이 부작용이 있고 치료에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원래 항암기전과 관련 된 면역 활성 화 수용체인 NAG2D 리간드를 표적으로 한 새로운 당뇨 및 그 합병증 치료법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특히 유전적 특성에 따른 치료지침과 개개인의 약제에 대한 감수성을 파악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약제를 개발하여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맞춤치료를 할 수 있게 될 것을 기대한다.

저자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1
권(호)
WO20110022334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7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