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중에서 생성되는 물질과 재료 -광화학옥시던트를 중심으로-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는 대기 중에서 생성되는 오존(O3)이나 유기 2차 입자(SOA) 및 산성물질인 질산과 황산에 대한 생성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발생원과 그 화학반응과정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중국으로부터 날라 오는 오염의 영향에 대해서도 이산화질소(NO2)의 위성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제시하고 있다.
○ 환경 오염물질은 대기 중에서 수송되는 것, 토양이나 물에 배출되어 확산되어 가는 경우가 주이다. 대기 오염물질에 있어서는 인간 활동에 의하여 직접 배출되는 1차 오염물질과 대기 중에서 화학적으로 생성되는 2차 오염물질로 대별된다. 1차 오염물질로는 자동차 등으로부터의 배기가스로 알려져 있는 질소산화물(NOX)이나 화석연료에 함유되어 있는 유황성분이 연소될 때 방출되는 이산화황(SO2) 등이 유명하다.
○ 2차 오염물질로는 광화학옥시던트가 있다. 당초는 화학물질의 특정에 대해서는 수행되지 않았지만 대기 중에서 태양광에 의하여 생성되는 독성이 높은 화학물질이라고 인식되었다. 그 후의 연구에 의하여 그의 주성분이 오존(O3)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오존은 성층권의 오존과 동일한 화학물질이다.
○ 우리들의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 NOX나 SO2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삭감되었고 이들의 대기농도는 크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2차 오염물질인 O3나 SOA 등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양적인 삭감으로부터 질적인 삭감이 요구되는 시대로서 오염물질의 삭감문제가 성숙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 주목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대기농도가 감소했기 때문에 그것으로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 앞으로는 대기 중에서 어떤 화학과정이 일어나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효율이 좋고 게다가 환경부하가 적은 환경오염물질의 제어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생각된다.
- 저자
- Yoshizumi Kaji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1
- 권(호)
- 11(1)
- 잡지명
- 未來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40
- 분석자
- 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