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산업에서 내향적 개방형 혁신을 체계화하는 흡수역량의 구축
- 전문가 제언
-
○ "전통산업에서 내향적 개방형 혁신을 체계화하는 흡수역량의 구축“을 주제로 하여 서언,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론, 벨기에서의 집단연구센터 : 기술통계량, 분석과 결과, 결어와 향후 연구로 구성되어 있는 본고는 부서 간 수준에서 흡수역량을 구축하는 데 집단연구센터의 역할, 내향적 개방형 혁신활동과 이러한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구축되어야 할 혁신역량에 초점을 두고 있다.
○ 특히 본고에서는 개방형 혁신은 외부지식에 의해 주도되고 혁신적인 제품/서비스로 전환되고자 하는 기업의 외부에 풍부히 존재하는 외부지식을 강조하고, 제품과정에서의 외부지식 이용이 내향적 개방형 혁신으로서 기업은 내향적 개방형 혁신을 위해 흡수역량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과, R&D활동이 흡수역량의 대용으로서 집단연구센터의 임무에서 핵심요소가 되고 집단연구센터는 회원기업의 흡수역량 구축을 지원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 흡수역량은 조직이 외부로부터 새로운 지식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조직의 기존지식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흡수, 동화, 공유하는 능력으로서 조직의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의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위한 핵심역량이 되고 있다. 개방형 혁신은 전체 혁신 프로세스에서 내부자원뿐만 아니라 외부의 자원을 함께 이용하는 새로운 혁신 패러다임이다.
○ 기업의 환경변화는 기업들로 하여금 역량개발에 더욱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도록 만들고 있다. 관련 이론들은 흡수역량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점하고, 생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량임을 강조함으로써 흡수역량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개방형 혁신이 도입되어 출연 연구기관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개방형 혁신이 불가피하므로 이것이 확대되어 흡수역량에 연계되게 하는 정책적 수단이 강구되고, 이에 대한 기업의 확대노력이 필요하다.
- 저자
- Andre Spithoven, BartClarysse, MirjamKnockaer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1
- 권(호)
- 31
- 잡지명
- Technov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0~21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