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학과 산업에서의 정보공유: 비교연구

전문가 제언
○ 본 논문은 “대학과 산업에서의 정보공유”의 주제하에 서언, 개념적 프레임워크, 기존 문헌 및 가설, 연구분야?데이터 및 방법론, 분석 및 결과, 토론 및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학과 산업의 과학자들이 누구와 정보를 교환, 공유하는 것을 어떻게 결정하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정보공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이러한 요인들이 대학과 산업의 두 영역에서 상이하거나 유사한 범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사회자본에 관련된 요인들이 정보공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대학과 산업의 과학자들간에 수준 높은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 지식의 교환과 결합을 지원하며, 과학적 발전을 촉진한다는 점과 대학과학자들이 산업과학자들 보다 대학과학자들과 정보를 더 공유하며, 과학공동체가 개방적 과학의 규범을 따른다는 확신이 강할수록 대학이나 산업의 과학자들이 정보를 공유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 점이 주목된다.

○ 정보공유는 A.Toffler의 “제3의 물결”에서 언급되었듯이 정보가 힘과 권력이 되는 21세기 사회에서 정보가 어느 한 곳에 집중되어 소수의 권력자들이 힘, 즉 정보를 얻게 되는 사회를 막기 위해서 생겨난 용어로서 다자간 공동체를 통해 서로의 의견 및 생각과 그로 인하여 형성된 여러 가지 형식적 지식을 교환함으로써 더 발전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개념이다.

○ 과학발전과 그 사회적 이익은 정보공유에 의해 결정되고, 이는 대학과 산업과학에 그대로 적용된다. 오늘날 세계적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구축 및 협력을 통해 전 세계의 과학자들이 서로의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등 보다 확장된 개념에서 산학협력 관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1년 1월 19일의 제 24차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산학의 네트워크활성화와 정보공유가 강조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 대학과 산업과학자들간에 정보공유가 촉진되고, 효율적인 정보공유체제의 구축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Carolin Haeussl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1
권(호)
40
잡지명
Research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05~122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