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의 저혈당조절 시스템: 혈장 포도당감지, 신경네트워크, 저혈당에 대한 중화조절 작용

전문가 제언
○ 혈당값이 어느 정도까지 내려가야 저혈당이라고 정의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환자에 따라서, 연령에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 또 목적에 따라서 다를 수가 있고, 이는 종종 논쟁의 여지가 된다. 대부분의 건강한 성인은 공복혈당을 72 mg/dL 이상으로 유지하고, 보통 60 또는 70 mg/dL을 정상 포도당 농도의 하한선으로 잡지만 저혈당증상은 대개 50에서 54 mg/dL 밑으로 떨어지기 전 까지는 나타나지 않는다. 종종 환자의 증상이 저혈당 때문인지 다른 이유 때문인지 결정하기 어려울 떼도 있다.

○ 저혈당은 인슐린과다, 선천대사장애, 독성 약물, 알코올, 호르몬 결핍 등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이는 그리 흔하지 않고, 이보다도 대부분의 임상에서 나타나는 저혈당은 당뇨환자의 치료에서 인슐린 또는 경구용 강력 혈당강하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저혈당이다. 일단 주사기로 주입된 인슐린은 스위치를 끌 수가 없기 때문에 당뇨성 저혈당은 이를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장애로 진행될 수 있는 확률이 비 당뇨성 저혈당보다 더 높다.

○ 사람의 뇌는 사람 체중의 2% 밖에 안 되지만 전체 심박출량의 15%, 전체 산소소비량의 20%, 전체 포도당 이용량의 25%를 차지한다. 혈당이 40 mg/dL 이하로 떨어지면 정신활동과 판단의 장애가 오고, 10 mg/dL 이하가 되면 대부분의 뉴런이 전기적으로 방전된 혼수상태가 된다. 뇌는 뇌와 소화기관 등 도처에 분포한 포도당센서의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중화조절 호르몬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글루카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방출하는 방어기작을 연출한다.

○ 뇌는 극도로 복잡한 기관이다. 사람의 대뇌피질은 150억 내지 330억 뉴런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뉴런은 만개 정도의 시냅스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대뇌피질 1 mm3의 부피에는 약 10억 개의 시냅스가 있다. 이 리뷰에서 다룬 뇌의 저혈당 중화조절경로의 신경해부학 연구가진전이 오래 걸리는 것이 수긍이 갈만도하다.


저자
Watts, A, G, Donovan, C, 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31
잡지명
Frontiers in Neuroendocri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2~43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