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조직화 되는 블록공중합체 박막
- 전문가 제언
-
○ 유연한 물질들이 보이는 자기조직화 현상은 깨끗한 에너지의 생산, 작고 위계적 질서의 구조를 가지는 나노디바이스 등의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나노미터 스케일의 상분리를 일으키는 블록공중합체는 나노주형화, 나노다공성 멤브레인, 유기광전재료, 비반사 코팅 등 나노기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지난 10여 년간은 블록공중합체의 상분리 현상을 Flory-Huggins 상호작용 파라미터를 이용한 모폴로지, 중합도, 블록의 체적분율과 사슬의 구조(선형, 별모양 등) 등의 인자를 통하여 이들이 박막의 모폴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구속조건, 기질의 표면에너지와 열처리 및 용매처리 조건이 박막의 자기조직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 대부분의 블록공중합체의 박막은 거의 완벽한 질서도와 장거리 질서가 요구되므로 전장, 전단, 존 아닐링, 기질 패터닝 등의 처리를 거쳐야 한다.
○ 본고에서는 선형 블록공중합체 박막에서 진행되는 자기조직화에 영향을 주는 구속조건, 표면 및 계면의 영향과 박막의 구축 조작과 캐랙터리제이션에 이용되는 기울기법의 사용법 등에 대한 자료와 최근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있어 박막 개발에 참여하는 나노기술 연구자들에게 매우 유익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저자
- Julie N. L. Alber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13(6)
- 잡지명
- Materials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4~33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