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염전위충(H.contortus)의 비정형 단백질 키나아제 - 새로운 살선충제 전망

전문가 제언
○ 기생충을 포함해 다세포 생물에서 비정형 키나아제에 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자유생활 선충인 예쁜꼬마선충 및 다른 진핵세포생물에서의 정보와 데이터에는 반추동물의 가장 중요한 기생선충의 하나인 염전위충의 riok-1, riok-2, riok-3 등 3개 RIO 키나아제 유전자가 기술되어 있다. 이들 유전자와 산물 분석 결과, 그들은 기생선충의 발육경로에서 각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리뷰는 예쁜꼬마선충에서 이들 유전자의 기능에 대한 전망과 RIO 키나아제의 선충-특수 억제인자의 새로운 종류 고안을 위한 기회를 지적하고 있다.

○ 본 내용과 관련된 리뷰가 최근에 분석, 서비스되고 있는데, 즉 ‘신약과 질병 중재를 위한 유일한 전망의 우폐충(牛肺蟲) 통찰’, ‘기생선충의 세린/트레오닌 인산분해효소(신기한 약품으로서의 전망)’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기존의 예쁜꼬마선충 게놈 시퀀스를 활용하는 것이다.

○ 염전위충에 관한 국내 연구는 ‘염전위충 감염자충과 성충의 DNase 활성 비교, 곽동미,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1-3, 248~252, 2004)’, ‘염전위충 성충에서 분비된 디옥시리보뉴클레아제의 크로마토그래프 분획 패턴, 곽동미, Laboratory Animal Research, 22-3, 267~271, 2006’, ‘녹차 종자 kaempferol의 효소 조제와 항산화 활성, Park JS et al., J Agric Food Chem, 54, 2951~6, 2006' 등이 있다.

○ 게놈학, 형질체학, 단백질학 간의 연결은 RIOKs 기능의 포괄적 이해는 물론 전체 유기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도 얻게 할 것이다. 고로 다분야 학문 접근이 이 흥미로운 비정형 단백질 키나아제그룹 탐구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진전은 아주 새로운 살선충제 개발 전망에서 선충-특수 RIOK 억제인자 개발이 기대된다.

저자
Bronwyn E. Campbell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29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38~350
분석자
김*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