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팡이독소 생성균의 연구를 위한 제언
- 전문가 제언
-
○ 곰팡이 독소란 유해 곰팡이에 의해 생성되는 2차 대사산물로서 사람이나 동물에게 유해한 작용을 하는 유독 물질의 총칭으로 최근 기후 온난화로 인해 특히 열대 지역과 아열대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오염 가능성이 높다.
○ 식품 중 발생하는 곰팡이 독소는 Aspergillus속, Penicillum속 및 Fusarium속 등의 곰팡이에 의해 생성되며 특히 옥수수 등의 곡류, 땅콩 등의 견과류에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외국에서 많은 농산물을 수입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안전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 곰팡이 독소는 사람이나 동물에 대해 신장장애, 간장장애, 신경장애, 간암이나 식도암 등의 발암성에 관련이 있으며 만성적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식품첨가물이나 잔류농약보다 더 큰 위험 물질로 보고 있다. 유럽연합에서 시행하고 있는 식품·사료신속경보시스템(RASFF) 발표 자료에 의하면 식품 중에서 부적합 율이 약 40%로 가장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 곡류 등 농산물 및 그 가공품 등에 아플라톡신, 파튤린, 오크라톡신A, 데옥시니발레놀 및 제랄레놀 등의 곰팡이 독소에 대하여는 기준 및 규격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대상 식품과 다른 곰팡이독소에 대하여 기준 및 규격을 계속 확대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특히 이에 대한 안전관리를 위해 재배 및 수확 후 관리 단계에서 실천할 수 있는 GAP(농산물우수관리기준)와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등 과학적인 실행규범에 대하여도 준수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식품 중 곰팡이 독소에 대한 안전성 관리 대책으로 규제치를 초과하는 검체에 대하여 폐기처분만이 최선이 아니므로 저감화할 수 있는 방법과 경제적으로 효과적인 선별법 등 고농도 오염 시료의 폐기에 관한 기술개발에 많은 연구를 하여야 한다.
- 저자
- Masakatsu ICHINO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51(6)
- 잡지명
- 食品衛生學雜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92~296
- 분석자
- 이*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