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국인에 감염되는 E. coli O157:H7

전문가 제언
○ 장관병원성(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O157:H7은 인수병원체로 연간 식중독이나 질병 발생건수가 다른 식인박테리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지만 이들 박테리아는 혈액을 동반한 급성 설사나 HUS 같은 심각한 질병을 야기하여 이들 박테리아에 감염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 인축분변에 오염된 외부 환경에 널리 존재하여 음료수, 수영장, 식품 변질에 의한 오염을 검사하는 지표가 되기도 하며 건강인의 장관에 상존하여 병원성은 없는 것으로 여겨지나 대장균 K12주(E. coli K-12)는 분자생물학과 생물공학 연구재료로서 널리 이용되어 있다.

○ 병원성 대장균에는 병원성 대장균(EPEC), 세포침입 대장균, 독소원성 대장균(ETEC), 장관출혈성 대장균(EHEC)으로 대별되고 특히 E. coli O157:H7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본고는 영국의 잉글랜드, 웨일스 및 스코틀랜드 지방별 대장균 발생과 기상조건 및 가축개체수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영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E. coli O157:H7 감염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 잉글랜드와 웨일스 지방은 대장균 식중독 사고가 약 1%에 불과하지만 스코틀랜드 지방은 약 3%에 달하고 있으며 본 결과는 많은 강수량과 짧은 일조시간 및 저온 등도 높은 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여름철 배설물 저장고에서도 지방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 또한 지정학적으로 취약한 스코틀랜드 지방은 사설급수관이 인구에 비하여 다른 지방보다 높은 편으로 이들 대장균 오염에 주요인자로 예측되고 있다.

○ 우리나라는 매년 식중독사건이 주로 단체급식에서 발생하고 있어 이들 오염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거나 위생시설 점검을 강화하여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정책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길 기대한다.
저자
P. Money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2(10)
잡지명
Environmental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633~2644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