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간 병원체를 전파하는 과채류

전문가 제언
○ 식인성의 인간병원체에 관한 많은 연구는 동물기원 식품으로부터 전파에 집중되었지만 최근 조사에 의하면 생과?채가 많은 질병발생 소소로 동정되면서 현재는 생산관련 발생이 이전에 보고된 수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으며 특히 노로 바이러스 발생은 감염된 작업자 손으로부터 식품오염에 기인되어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유기농 식량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고조되면서 선진국일수록 유기농산물 생산정책을 장려하고 있지만 각종 질병발생을 예방하려는 공공보건 정책과 신선채소 소비량간의 관계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는 것도 사실이다.

○ 시가독소(Shiga toxin)를 생산하는 E. coli O157 감염은 어느 다른 식품생산보다 소고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심각한 발생이 오염된 무순과 사전 수확한 시금치에 기인되었다. 유사한 경향으로 살모넬라 감염은 주로 동물식품 소비에 기인되지만 신선채소 생산과정의 오염에 기인된 것으로 추적되어 주의가 요구된다.

○ 섬유 3형 분비시스템과 편모 및 선모 curli 단백을 포함한 대체메커니즘으로 E. coli O157이 상추 잎에 부착하기도 하고 신선채소 생산과 관련된 살모넬라는 편모, curli, 셀룰로오스, O 항원 캡슐이 연루된 특이 혈청형에서 발생되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 식물과 미생물, 환경, 생산과정, 식품취급 인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해와 규명은 오염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국내에서도 각종 유기농 채소와 과실생산을 정부 당국에서 관리감독하고 있지만 아직은 초기단계로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각종 미생물이나 오염원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확립되길 기대한다.
저자
C.N. Berger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2(9)
잡지명
Environmental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385~2397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