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을 함유한 폐수의 생물막 정화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정화는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생물 신진대사를 이용한다. 이 기술은 오염물질을 현장이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 처리하는 2가지 분류법이 있다. 바이오정화 기술의 예시에는 phytoremediation, bioventing, bioleaching, landfarming, composting, rhizofiltration 및 biostimulation이 있다.
○ 생물막(biofilm)이란 여러 층의 미생물세포들이 표면과 연합하여 있는 조직적인 미생물 체계이다. 이 생물막은 미생물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인자이다. 단순한 생물막은 미생물이 부착하여 단층의 세포층을 형성할 때 만들어진다.
○ 자연계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표면은 biofilm으로 덮여 있으며 치아나 기타 구강 내 구조물에 존재함으로써 세균집단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biofilm은 dental plaque라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 dental plaque보다 조금 더 포괄적인 의미라고 볼 수 있겠다.
○ 이 특허에서 금속함유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은 많은 생물막 보유구조를 함유한 반응용기를 통하여 폐수를 통과시키고 각각의 구조는 적어도 생물막으로 일부가 코팅되어 있음을 청구하고 있다.
○ 또한 이 방법은 폐수에 있는 카드뮴, 철, 니켈, 우라늄, 코발트, 납, 망간 및 비소와 같은 하나이상의 중금속을 제거하고 생물막에 함유함으로서 생물막을 처리하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용기에 있는 폐수를 잡아두는 것을 청구하고 있다.
○ 국내는 32건의 생물정화 관련 해외특허를 보유하여 이탈리아와 함께 세계 공동 5위에 위치하고 전 세계적으로 정량적 측면에서 미국이 42.5%, 일본이 39.3%의 특허를 보유하며 이 두 나라가 생물정화 분야를 주도하고 있다.
- 저자
- Allegheny-Singer Research Institute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WO2011000553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1
- 분석자
- 유*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