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조류 : 지속가능한 에너지 및 고부가가치 재료의 원료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 수요의 증가, 예상되는 화석연료의 부족, 연소 시 온실가스 CO2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 우려 등 때문에 대체 청정 에너지원을 탐구하고 있다. 이를 위한 후보는 많지만 미세조류(microalgae)가 가장 유망하다. 왜냐하면, 지질 생산능력이 높고, 성장속도가 빠르고, 무한한 태양광과 CO2를 사용하고, 다른 기름용 작물보다 광합성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담수, 해수 또는 산업 폐수 등 여러 조건의 물에서 생장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 미세조류로부터 생산하는 바이오연료에 대한 기대는 매우 높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150개의 크고 작은 회사들이 미세조류 유래 바이오연료를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엑슨 모빌사 같은 거대 에너지회사도 벤처 기업과 제휴하여 연구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고 있다. 이들 회사의 전략은 주로 미세조류의 지질 생산능력을 극대화하고, 광생물반응기의 효율과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것으로써, 이 글에서 설명하는 연구개발 개념과 동일하다.
○ 우리나라에서도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혹은 CO2 고정화 연구가 활발하다. 정부는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기술개발사업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한국해양연구원은 미세조류 실증시험장(파일럿플랜트)을 최근 준공, 운영에 들어갔다. 한국남부발전은 벤처기업 엔엘피와 손잡고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배수와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미세조류를 배양하고 이를 상업화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해양미세조류은행에서는 약 1,600여종 이상의 미세조류를 순수배양하고 있으며 이를 필요로 하는 국내외 학·연·산 연구계에 분양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 바이오연료에 대한 연구는 아주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다. 1 세대 및 2세대 바이오연료에 비하여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생산은 우리나라 실정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 생각하며 확실한 비전을 갖고 추진하기를 기대한다. 지질생산효율이 높은 균주의 개발 및 토지를 거의 차지하지 않는 저면적 고효율 광생물반응기의 개발을 기대하며, 괄목할 만한 원가경쟁력 개선을 아울러 기대한다.
- 저자
- K. G. Satyanarayana, A. B. Mariano, J. V. C. Varga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1
- 권(호)
- 35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91~311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