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장애인의 생활을 지원하는 기기

전문가 제언
○ 전동차 의자는 스스로의 힘으로 이동하기 곤란한 고령자나 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이동 보조 시스템으로 그 수요는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전동차 의자는 사용자의 세밀하고 정확한 수준의 제어를 계속적으로 필요로 하므로 감각 능력이나 조직 능력의 손상을 입은 사람에게는 사용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갖춘 진보된 지능형 전동차 의자의 개발은 필수불가결하다.

○ 진보된 지능형 전동차 의자는 기존의 조이스틱을 사용한 단순한 피드백(feedback) 제어기에 기반된 마이크로 조정기를 사용하는 대신에 사용자의 이동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이동 로봇의 기술 및 기술 체계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지능형 전동차 의자는 자율주행을 비롯한 여러 가지 전동차 의자의 기능들을 자동 제어 시스템에 전가하는 소위 공유 제어 시스템, 또는 센서에 기반한 제어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 진보된 지능형 전동차 의자의 개발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상용화되고 있으나 의료 복지용 로봇의 설계단계로부터 사용 대상자의 사회 및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시스템 개발로 사용자에게 친근감을 주면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문화에 대한 연구도 필수적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원격지에서 탑승자의 화상이나 주위 환경을 함께 모니터할 수 있도록 보완해야 할 것이며, 사용자의 상호작용에서는 사람의 동작을 인식하여 전동차 의자를 제어하는 연구를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개발되고 있는 KARES는 장착형 재활 로봇 시스템이며, 미국 Everest & Jenning 사의 “VORTEX“를 사용한 지체장애인의 생활을 돕도록 만든 시스템으로서 전동차 의자에 자체적으로 설계, 제작된 로봇 팔을 장착하여 보조자 없이 고령자 및 신체장애인(특히 경추 손상자)들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이 전동차 의자의 입력수단으로는 음성 인식, 3차원 수동입력 장치가 있으며, 비주얼 서보잉(visual servoing)을 통한 4가지 기본적인 자동작업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Ikuo Yone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1
권(호)
50(1)
잡지명
計測と制御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48~54
분석자
석*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