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형광 Imaging을 사용해서 뼈를 해석함

전문가 제언
○ 근래에 와서 현미경 및 레이저에 관한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특히, 조직심부의 관찰이 가능할 수 있는 "이광자려기 현미경"의 등장으로 인하여 개체 및 조직을 살아있는 체로 생세포의 동태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 더군다나 새로운 형광단백질이나 형광프로브(Probe)의 개발로 인하여 형광영상(Fluorescent Imaging)의 기술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으로서 이광자려기 현미경을 구사해서 실험동물인 마우스를 살아있는 체로 뼈 조직 안을 가시화하게 됨으로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활용에도 무리 없이 성공을 이루게 되었다.

○ 파골전구세포의 유주관련 세포와 그의 위치결정에서 지질 조정자(mediator)의 역할을 하는 일종의 S1P(Sphingosine-1- Phosphate)나 그 외에도 여러 가지의 Chemokine으로 인해서 그의 메커니즘이 동적으로도 통제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 이광자려기 현미경을 사용해서 뼈 조직의 생체 이광자려기 Imaging의 방법론은 뼈 조직 내의 여러 가지 세포가 살아 움직임을 현실적으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면역학 및 생명과학연구에 있어서도 매우 강력한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골수강 내에 있어서 여러 세포의 움직임 및 위치 결정과 그의 분화에 관한 통제나 혈액계통의 줄기세포가 다능성을 유지하는 특수한 환경의 동정파악을 비롯하여, 특히, 암 종양세포의 뼈로 이전이라든가, 본래 뼈에 없던 세포가 어떻게 해서 뼈에 도달하게 되는지? 등, 뼈 조직과 골수강에 관해서 연구하고 규명하여야 할 과제가 많아, 새로운 뼈 흡수억제제인 골소송증제제 및 골수관련 의약품 개발하고도 관련이 깊음으로 관심 있는 분의 촉구를 바란다.
저자
Junichi Kiku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30(3)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77~282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