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연골 내 골화에서의 Hedgehog(Hh) 시그널의 역할

전문가 제언

○ 포유류의 골격은 막내골화(Intramembranous Ossification)와 연골내골화(Endochondral Ossification)의 두 가지 골화의 형식을 통해서 형성된다. 연골내골화에는 연골이 최초로 형성되어 이것이 뼈에 옮겨져 가게 된다. 이때에 연결형성과 뼈의 형성은 여러 가지 시그널을 개입시켜서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밀접하게 상호작용해 가면서 진행하게 된다.

○ 유전자 변형마우스를 중심으로 하여 실험한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Hh (Hedgehog)는 연골형성과 뼈 형성을 연결하는 중요한 시그널이란 것으로 밝혀지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우선 Hh시그널 경로를 대한 해설과 그 후에 일어나는 연골 내 골화에 있어서의 Hh시그널의 역할에 관한 최신의 지견을 소개하고 있다.

○ Hh시그널에 의한 뼈 형성 통제메커니즘에 있어서 연골 내 골화의 메커니즘은 골아세포가 석회연골세포하고 인접한 연골막내에 가장 먼저 출현하게 되며, 전 비대와 비대연골세포 층에서 발현하고 있는 Ihh는 연골막에 존재하는 뼈와 연골전구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골아세포분화의 가장 초기의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최근의 Hh시그널은 뼈 및 연골 전구세포의 골아세포로서의 분화결정에 관여하며, Wnt시그널은 골아세포의 중기에서 후기의 분화유도와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Notch시그널은 간엽계 줄기세포 풀의 유지와 그의 미분화성유지에 관여 할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

○ 앞으로는 Hh시그널을 중심으로 하여 Wnt시그널이나 Notch시그널 등, 뼈의 통제시그널로서 혈관내피증식인자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등의 혈관유도시그널을 조합시킴으로서 생리적인 뼈의 증식 및 발생에 관한 메커니즘을 통해서 주로 노화로 인한 골소송증치료에 보다 부작용이 적고 효율 좋은 뼈의 증식 및 재생 요법제제의 확립이 기대된다.
저자
Hironori Hoj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30(3)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38~242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