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나의 바이오매스 자원과 바이오연료 잠재력

전문가 제언
○ 국내 바이오매스 자원은 산업폐기물을 제외하고는 원료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낮고 대량수집과 집하가 곤란하며 기질과 발생 특성이 상이하여 에너지 전환기술에 취약점을 갖고 있다. 국내 바이오에너지 생산과 활용이 가능한 농림부산물, 축산폐기물 및 도시폐기물을 합치면 약 230만toe에 이르지만 현재 보급되고 있는 바이오에너지는 약 197천toe로 가용자원량 대비 8.5%에 불과하다.

○ 바이오메스 에너지원은 크게 비재생원과 재생원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개발 국가에서는 바이오매스를 직접 혹은 전환에 필요한 설비기술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다. 혐기성소화의 미생물공정은 특히 1970년대 걸프 전쟁의 에너지 위기 이래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 바이오에너지 시스템에 의한 에너지와 온실가스 균형은 항상 화석연료 시스템과 비교를 하게 된다. 바이오에너지와 화석연료 시스템의 전체적인 관계는 전력과 열 생산을 비교하게 되는데 바이오에너지는 대기로부터 광합성에 의한 탄소 고정으로 시작되고 바이오매스 폐기물은 농산물이나 산림으로부터 얻게 된다.

○ 가나의 바이오자원 및 바이오연료 개발에 대한 다방면의 R&D 활동은 지난 수년 동안 1차 발전용 바이오연료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에탄올을 개발하면서 동시에 여러 바이오연료 분석도 병행하였으며 최근에는 2차 바이오연료 개발 과제로 바이오매스의 고속열분해 프로젝트를 영국 CSIR-IIR(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와 공동으로 실시하고 있다.

○ 이 글에서는 가나의 최근 이용 가능한 바이오매스자원에 대한 검토를 하였고 사용 가능한 잠재력은 여러 타입의 바이오연료 활용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국토에 존재하는 여러 바이오매스자원은 활용 가능한 바이오매스 전환 기술을 적용함으로서 다양한 타입의 연료로 전환될 수 있음을 보였으며 특히 연료개발용 에너지원 선택에서는 기술, 경제, 사회 및 환경이점을 고려하였다.
저자
Moses Hensley Duku, Sai Gu, Essel Ben Hag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15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04~415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