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에너지효율 정책과 영향평가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세계 각국의 에너지정책방향은 재생에너지개발과 함께 에너지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에너지효율성의 제고와 에너지절약이 가장 효과적인 새로운 에너지자원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인 것이다. 에너지과소비습관을 고치지 않는다면 기후변화방지노력은 성과를 거둘 수 없기 때문에 이런 의미에서 일반대중의 지지를 폭넓게 얻는 것이 필수적이다.
○ 인도의 에너지개발과 기후변화에 대한 도전은 개발도상국과 비교해 비교적 취약한 편이다. 인도는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서 에너지소모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서 기후변화감소에 대한 도전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특히 에너지부문에서의 불완전, 불공평 및 기후변화대응이라는 3대 도전은 인도가 해결해야 할 최우선의 과제가 될 것이고 에너지효율개선은 이러한 도전을 함에 있어서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 인도는 2008년 6월에 인도에서는 처음으로 기후변화관련 국가행동계획을 발표하여 온실가스배출감소 및 기후변화대응책 등 환경보존과 더불어 지속가능한 개발방법 및 실행방안을 명시하였다. 인도는 중국, 미국에 이어 세계 3위의 온실가스배출국가로 기본적으로 국내 1인당 온실가스배출량에 있어서 선진국을 초과하지 않게 한다는 입장이다.
○ 이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8대 과제를 선정하였다. 8대 국가과제는 태양에너지개발, 에너지효율성제고,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조성, 효율적 물 관리, 히말라야생태계보존, 녹색인도조성, 지속가능한 농업기반구축, 기후변화관련 전략지식의 확보 등이다.
○ 우리나라에서 에너지효율개선을 위한 녹색경주는 이미 시작되었다. 저탄소녹색성장의 경주에서 승리하려면 새로운 에너지절약블루오션을 찾고 로드맵을 구축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그 계획의 중심에 창 세트, TV 및 변압기가 대표적으로 있다. 이제 우리는 보다 장기적인 관점으로 전체적인 시장흐름을 파악해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무한한 도전과 기회가 우리 앞에 있는 것이다.
- 저자
- P. Balachandra et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38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428~6438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