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센서를 이용한 건강관리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저출산 고령화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의료비, 과도한 음주, 흡연 등 부절제한 생활에 의한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증가로 인한 의료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비 절감에는 고령자를 비롯한 만성질환자는 일상적인 생활에서 체력단련 등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에 대비한 의료비 절감 및 건강관리 문제는 미국, 영국 등에서 건강관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고령자에게 IT기기와 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료, 건강관리, 응급시스템, 사회참여 등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하고 있으며 또한 일본에서는 정보가전 및 센서를 통해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주택건설 등을 추진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자수는 2010년 535만 명, 2011년에는 550만 명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2026년에는 전체인구의 20%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고령자의 증가는 사회적,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책으로 2006년부터 건강관리 시범사업과 원격진료 사업 등을(부산, 대구, 경기, 충남 등 일부지역) 추진하여 왔다.

○ 원격진료시스템은 환자의 건강상태를 문진하여 전송하는 시스템, 생체정보측정 및 화상전송 등이며 고령자와 독거노인 등에는 댁내활동 감지센서, 출입감지센서, 전기사용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일정시간 감지하여 생사활동 유무를 확인하는 시스템이다. 앞으로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건강관리 서비스의 활성화를 기대한다.

○ 우리의 과제는 노인이 느끼는 가장 큰 문제로 경제적인 어려움(41.4%)과 건강문제(40.3%)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또한 우선적으로 고령층에 대한 보건복지, 건강관리시스템의 개발이 과제이다. 현재 고령화 사회의 문제는 노년층만의 문제가 아니다. 앞으로 만성질환 등 의료분야에서 전반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저자
Yuichi FUJI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1
권(호)
94(3)
잡지명
電子情報通信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178~184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