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Bengal 서부의 천부 대수층 퇴적물 중 비소의 분포와 이동
- 전문가 제언
-
○ As는 독성이 강한 준금속으로 As가 높은 지하수를 장기간 음용할 경우 만성 내지 급성의 중독현상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따라서 WHO에서는 0.01 mgL-1를 기준으로 정하고 있지만, 수도 시설이 없는 국가의 농어촌에서는 As가 높은 지하수에 노출되기 쉽고, 동남아의 일부 국가에서는 주민의 건강에 심각한 문제로 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는 계속할 필요가 있다.
○ 본 글은 인구 많이 밀집되어 있는 인도 서벵골에서 대수층에 As 농도가 높은 한 마을 Ambikanagar의 우물을 대상으로, 특히 심도별 구성물질 조성과 조성물질별 As의 농도를 지구화학 및 미생물에 의한 방법으로 정밀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벵골 삼각주 평야는 물론 태국, 베트남과 캄보디아에 분포하는 넓은 삼각주 내 지하수의 As 연구에도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 대수층 지하수의 As 이동에 중요한 Fe 수산화물의 환원분해, As의 종 분화와 농도에 영향을 주는 SO42-의 환원, As 황화물의 용해도와 황화광물에 흡수되는 작용 등의 연구는 이미 많이 되어 있으나, 심도별 조성 물질과 조성물질별 As의 농도는 조사된 것이 없기 때문에 본 자료는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글은 벵골 삼각주 평야 내 지하수를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동남아 삼각주 평야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주변 국가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종합적으로 비교검토하면 아세아의 동남부를 포함하는 대륙적 규모의 자료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국내에서는 As 오염은 주로 광산과 산업단지 주변의 토양에 대하여 연구된 것이 있으나, 삼각주 지대에서 우물로 사용하는 지하수의 As 오염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농업용수로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강 하류의 삼각주 지대 지하수에 대하여 유사한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Joyanto Routh, Per Hjelmquis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26
- 잡지명
- Applied Geo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05~515
- 분석자
- 이*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