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차와 발전기의 근대화를 위한 개수와 갱신
- 전문가 제언
-
○ 수력 터빈(hydraulic turbine)이 동력원으로 사용된 역사는 기원전 수 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또한 수력 터빈이 발전에 활용되기 시작된 것은 전구와 발전기가 발명된 19세기 후반부터이다. 1978년 프랑스 파리 근교에 세워진 물레방아 모양의 수차가 발전 수력 터빈의 효시이며, 1982년 9월30일에 미국 Wisconsin주의 Appleton시 폭스 강(Fox river)에 운전을 시작한 12.5 kW급 발전소(발전소명: Vulcan Street Plant)가 세계 최초의 상업용 수력발전 플랜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수력 터빈이 발전에 이용된 이후 유체역학 이론의 정립, 메카트로닉스와 터빈 관련 재질기술의 진보, 제어기술의 급속한 진전 등에 의하여 여타 플랜트기술보다 빈번하고 획기적인 개수?개량이 요구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이 발전은 CO2를 배출하지 않는 재생가능 자연 에너지를 이용하는 친환경성이 돋보이면서, 신설 플랜트의 건설은 물론 노후화된 설비의 개수나 갱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세계 댐 위원회(World Commission on Dams, WCD)의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댐은 용수 공급뿐만 아니라 수력 터빈(세계의 주류는 Francis 수차와 Kaplan 수차임)을 통해서 세계 전력발생과 공급의 약 20%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수력발전의 건설에 적극적인 국가는 구미 각국에서 중국으로 바뀌고 있으며, 범지구적으로 소수력발전 설비도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 따라서 플랜트 수출 선진국인 우리나라의 해당기업과 정책입안자는 수력발전소의 신설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기존 수력플랜트의 근대화를 위한 개수와 갱신 개수에도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KAWASAKI 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65(6)
- 잡지명
- 東芝レビ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3~27
- 분석자
- 조*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