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새로운 브롬화 난연제

전문가 제언
○ 살충제를 비롯한 농약분야와 절연유, 난연제 등의 화학제품 원료분야에서 잔류성과 독성을 보유하는 신제품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를 규제하기 위해 각국에서는 유럽연합이 REACH, 미국의 TSCA(유해물질 관리법), 캐나다의 CEPA(환경보호법) 등으로 대처하고 있다.

○ 이러한 잔류성 유기물에 대한 초기의 대응활동은 PCB 등의 염소화합물에 집중되었지만, 최근에는 도시폐기물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맹독성의 다이옥신 때문에 세인의 관심이 점차 브롬화 난연제로 이동하고 있다.

○ 브롬화 난연제는 주중 생물계를 위협하고 있으며, 극지의 동식물에도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다. 폴리브로모디페닐 에텔(PBDE)를 위시해서 이러한 물질들은 발암성과 함께 신경 계통, 갑상선 등에 지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 본고에서는 독성이 높은 PBDE, HBCD와 TBBP를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브롬화 난연제인 DBDPE, BTPPE를 소개하고 있다. 농약분야에서는 이렇게 독성이 낮은 물질로 대체해서 개발하는 방안이 예전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도 친환경농약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 세계적으로 화학약품에 대한 환경오염을 저감하기 위해 그린화학이 탄력을 받고 있다. 이러한 그린화학은 화학약품 자체는 물론 제조공정도 개선해서 이로 인한 환경부하를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폐수 또는 정수처리과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편적인 알루미늄 계통의 응집제를 보다 무해한 철 계통의 응집제로 교체하는 방안도 그린화학에 속한다.

○ 브롬화 난연제는 고분자물질의 난연제로 사용되므로 담수 또는 해양환경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최근에 국내의 시화호에서도 브롬화 난연제가 발견되어 이목을 끌고 있지만, 이러한 난연제의 제조와 유통관리도 그린화학의 개념을 조기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자
Adrian Covac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37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32~556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