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자산지수 - 특허 포트폴리오의 새로운 벤치마크 접근법
- 전문가 제언
-
○ 이글은 “특허자산지수 - 특허 포트폴리오의 새로운 벤치마크 접근법” 주제 하에 서론, 기존 벤치마크에 대한 논의, 새로운 특허벤치마크 기법의 개발, 글로벌 화학산업에서 특허평가지수의 적용 및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트폴리오 규모, 시장범위 및 기술관련성을 통합하여 기업의 특허 포트폴리오의 가치를 평가하는 새로운 핵심 메트릭스로써‘특허자산지수’(Patent Asset Index)를 구축한 점이 주목된다.
○ 특허 메트릭스는 기술지향기업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점점 더 많이 사용된다. 특허순위와 특허득점판은 서로 대립되는 기업의 특허 포트폴리오를 벤치마크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기존의 순위는 관리자, 투자자 및 다른 이해관계자들에게 이들 벤치마크의 의미를 크게 감소시키는 방법론적 한계를 갖는다. 이글은 기존의 접근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경쟁자와 대비하여 기업의 특허 포트폴리오의 보다 정확한 평가를 제공하는 새로운 벤치마크 방법을 제공한다.
○ 기업은 새롭게 개발된 일련의 특허지표로부터 도출된 특허평가지수에 따라 순위가 매겨진다. 이 연구는 글로벌 화학산업에 새로운 벤치마크 방법을 적용하여 본 연구를 다른 기존의 특허포트폴리오 순위의 연구와 대비한다. 관리자, 주주, 투자자 및 다른 이해관계자는 기업의 경쟁력을 평가하는데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갖는다. 기술지향 산업에서 R&D지출을 혁신제품으로 전환하는 기업의 능력은 경쟁적 이점과 따라서 재정적 실적을 가져오는 핵심적 동력이다.
○ 그러나 이 핵심적 능력은 대차대조표에 반영되지 않는다. 유의미한 특허지표는 혁신하고 경쟁력을 얻는 기업의 능력을 평가하는 흥미 있는 대용물(proxy)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특허의 양적성과 뿐만 아니라 질적평가에 대한 논의와 이를 위한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기업의 특허 포트폴리오의 보다 정확한 평가를 제공하는 ‘특허자산지수’ 기법을 도입, 발전하여 기업의 기술적 자산을 평가하는 것이 앞으로의 혁신과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필요하다.
- 저자
- Holger Ernst, Nils Omland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1
- 권(호)
- 33
- 잡지명
- World Patent Inform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34~41
- 분석자
- 고*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