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카본-프리 전기생산에 대한 대류 소용돌이의 기술적 활용

전문가 제언
○ 미래 세계 에너지 시장의 불안정과 예측할 수 없음은 증가하는 에너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대체기술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은 에너지 활용과 관련된 몇 가지의 기술적 해법과 이론적 지식을 분석하였는데, 이 고찰은 주위의 대기에서 인공적인 소용돌이 기둥을 생산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대류 소용돌이는 유용한 태양열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열기관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소용돌이(vortex)에 관한 국내 연구로는 "소용돌이 성분이 있는 축대칭 유동의 중심난류 특성(1994)", "차량 주행 시 웨더스트립에 의한 풍력소음에 대한 연구(2001)", "압력구배가 있는 난류경계층 내 횡 방향 와류의 분포경향(2010)" 등이 있다.

○ 선회유동(swirl flow)에 관한 연구로는 "PIV 기법을 이용한 선회유동의 급팽창에 관한 연구(2000)", "Gun 식 가스버너의 연소실 내 난류선회유동 고찰(2001)", "수직원관 내에서 2상 선회유동장에 관한 실험적 연구(1995)", "비비등 선회유동이 압력강하에 미치는 영향(1989)", "Ranque-Hilsh 볼텍스 튜브의 에너지 분리과정에 대한 수치해석", 그리고 "수평 이중관 내의 선회유동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2001)" 등이 있다.

○ 국내에서는 "소용돌이" 혹은 "선회유동" 두 가지 명칭으로 수평 및 수직관에서 속도분포 및 압력강하에 대하여 연구되었다. 즉 관내 유동에 대해서만 연구되었고, 관외 유동에 대해 연구된 경우가 적다. 특히 본 연구결과와 같이 전기 에너지 생산을 위해 소용돌이를 연구한 경우는 극히 드물며, 앞으로 전기 에너지 생산을 위한 하나의 새로운 접근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Sandro Nizeti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1
권(호)
36
잡지명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236~1242
분석자
장*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