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지하수의 비소오염
- 전문가 제언
-
○ 비소(As)는 자연계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흔하게 발견할 수 있는 원소로서 지질, 채광, 화석연료의 연소, 농약 등에서부터 출현하고 있다. 비소는 특이한 산화반응 특성을 갖고 있으며 환경의 pH와 산화/환원조건에 따라 그 형태와 독성이 변화한다.
○ 옛날부터 비소는 식물과 동물들에게 강한 독성물질로 알려져 왔으며, 무기비소는 발암물질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소노출의 대표적인 증상은 피부염증이지만 각종 암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무기비소가 유기물형태의 비소보다 동물과 인간에게 더 독성이 높다.
○ 비소는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토양과 지하수의 중요한 오염물질이 되고 있으며, 특히 개발도상 국가들에서는 토지 이용형태의 변화, 도시화, 산업화, 인구의 증가 그리고 각종 개발활동으로 인하여 비소와 관련된 여러 종류의 문제들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비소오염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비소농도가 높은 지역과 아직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또한 안전기준치를 초과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감시활동의 강화와 오염에 따른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 음용수의 비소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원고에서 제시하고 있는
“빗물 모으기” 등 여섯 가지의 장기적인 접근방안은 안전한 식수의 확보뿐만 아니라 수자원의 추가활용을 설계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인적 및 재정자원의 절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비소오염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된 바는 없으나, 먹는 샘물과 간이급수용 관정의 수질평가에서는 WHO기준인 10μg/L를 초과하는 결과도 있었다. 우리나라 지하수 비소오염의 평가를 위해서는 지화학적 변화, 미생물의 작용 그리고 지하수 유동특성 파악하고, 비소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퇴적층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Jay Krishna Thakur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3
- 잡지명
- Wat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20
- 분석자
- 윤*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