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용 양잠학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는 단군세기에 4,300여 년 전 누에를 길렀다는 기록이 존재하여 삼한시대 이전에 중국에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왕후가 궁궐에서 뽕잎을 따고 누에를 치는 친잠례(親蠶禮)라는 의식을 거행하여 양잠을 장려하였으며, 서적으로는 세종 때 언문으로 된 양잠서(養蠶書)가 있고 중종 때 김안국이 잠서언해(蠶書諺解)를 저술한 기록이 있다.

○ 누에산업은 1962년부터 수출증진 및 소득증대사업으로 잠업증산 15년 계획으로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3대 양잠국으로 성장되었다. 1970년대 수출액이 2억7천만 달러였으나 1980년대 중반 이후 중국산 저가 생사 수입 및 노동집약적 산업구조로 쇠퇴, 1999년 잠업법 폐지로 양잠농가도 1976년 48만호에서 2007년 2,048호로 감소되었다. 실크의 원료인 생사는 세계에서 9만 톤 정도 생산되고 있으나 7만 톤이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 뽕잎은 칼슘이 녹차의 6배, GABA는 10배, 루틴은 약 4배가 많으며 당뇨병 예방 및 치료, 고혈압, 동맥경화 예방이 가능하고 뽕나무 뿌리는 호흡기질환과 기생충 구제, 이뇨효과가 가지는 당뇨에 효험이 있고, 열매인 오디는 항산화물질의 함량이 높은 안토시아닌, 레스베라트롤 등이 풍부하며, cyanidin-3-glucoside, 루틴 등이 함유되어 있다.

○ 누에 동충하초는 겨울에 곤충의 몸속에 있다가 여름에 풀과 유사한 형태로 나오는 버섯류의 약재로 면역력 증강, 호흡기질환 치료 및 예방, 피로 및 염증억제 효과가 있다고 하며 항암효과도 보고되고 있다. 실크는 왕과 귀족만이 입을 수 있는 최고급 직물로서 캐시미어와 함께 최고급 패션소재로 누에가 컬러 실을 만들면 염색이 필요 없는 천연섬유가 되므로 황금색 실을 만들면 고부가가치 소재가 될 수 있다.

○ 최근 부활하고 있는 누에산업을 농촌 활력 증대에 활용하고 천연물 신약 개발 및 의료용 소재 개발을 통하여 2009년 5월 제정된 `기능성 양잠산업 육성 및 지원법`을 십분 활용하여 누에의 새로운 식품에의 기능성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양잠산업에 새로운 도약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저자
Masatoshi Ichida Teruko Naka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30(3)
잡지명
食品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07~115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