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개발 전망과 온실가스 감축전략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 본보고서는 중국의 재생에너지 개발현황과 향후 전망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재생에너지 개발로 인한 화석연료 소비량 절감효과와 CO2 배출량 감축 잠재력, CO2 감축비용 등을 성장 시나리오별로 분석하여 비교하고 있다.

○ 현재 중국의 재생에너지 이용에서 주력은 수력발전이며 풍력발전이나 태양광발전 등이 전체 전력 공급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미미하다. 풍력이나 태양광발전은 화석연료 등의 기존 전원에너지에 비해 경제성이 떨어지며 기술 개발의 관점에서도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태양광발전의 비용은 원자력이나 석탄발전에 비해 거의 10배나 높기 때문에 경쟁력 있는 기술 개발과 실용화에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그러나 중국의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기술은 선진국의 기술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중국은 2009년 현재 세계 총 CO2 배출량(320억 톤)의 37%를 배출하고 있어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CO2 배출량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은 국내 전력의 80%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재생에너지 개발과 원자력의 점유율을 높이고 석탄 등 화석연료를 절약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본보고서는 정부정책에 근거하지는 않았지만 중국의 향후 동향을 3가지 시나리오(보통, 중간, 고성장)로 분석하고 있어 자료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성장 시나리오에서는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의 CO2 감축 잠재력이 석탄 소비량 기준으로 약 500억 톤이나 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2009년에 연간 6.64억 톤의 CO2를 배출하여 세계 7위를 기록하고 있다. 꾸준히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어 적절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원전 개발로 전력 공급량을 늘리는 정책이 확정되었으나 재생에너지 개발에 보다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력발전 잠재력은 거의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풍력발전 및 태양광(열)발전 및 CO2 포집 및 저장기술 등의 개발에 역점을 두고 중장적인 정책지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Tong Li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1
권(호)
36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284~1292
분석자
이*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