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생산용 한외여과 막의 파울링
- 전문가 제언
-
○ 급증하는 세계 인구에게 필요한 식량을 증산하기 위해 농업용수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물 순환으로 공급할 수 있는 담수자원은 한정되어 있다. 지구상에 있는 담수자원의 약 80%가 농산물 생산에 공급되고 있으므로 인간 생존을 위한 수돗물 자원도 점차 감소하고 원수의 수질도 저하할 수밖에 없다.
○ 이러한 상황에서 지구 온난화로 지역에 따라 강수량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므로 새로운 수자원 개발은 물론 기존의 수자원에 대한 고도처리도 시급한 현안이 되고 있다.
○ 수돗물 속의 미생물 또는 유기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값싼 염소가 산화제로 사용되고 있지만 트리할로메탄과 할로아세트산과 같은 유해한 소독부산물이 발생하고 있고, 근래에는 염소에 내성을 가진 원생동물도 등장해서 주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 유럽을 비롯해서 선진국의 수돗물 관리는 소독부산물과 염소에 내성을 가진 원생동물 제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와 함께 응집제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에 의한 건강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철산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 국내에서도 수돗물의 소독부산물을 규제하기 위해 정수장별로 정기적으로 검출시험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부산물은 정수처리장의 운전조건, 기후조건 및 배수시스템과도 연결되므로 적절한 검출시험제도를 확립해야 한다고 본다.
○ 염소에 내성이 있는 원생동물은 통상적인 여과로는 제거할 수 없으므로 막 여과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 취급한 한외여과는 역삼투에 비해 에너지비용이 적고 운전도 간편하므로 수돗물 수질향상을 위해 대비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Wei Gao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272
- 잡지명
- Desalin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8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