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도의 에너지안보와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원자력 선택방안

전문가 제언
○ 국가마다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과 함께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에 노력하고 있다. 인도는 중국과 함께 신흥 산업국가로서 인구 증가와 경제 개발에 따라 에너지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CO2 배출량이 급증하고 있는 국가이다. 특히 인도는 전력 공급이 수요에 비해 약 20%나 부족(첨두수요 기준)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에너지 개발과 함께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애로사항에 부딪히고 있다.

○ 인도의 에너지 구조에서 현재 추세를 반영하면 2005년을 기준으로 2045년의 연간 전력 공급량(Mallah 보고서)은 15,610억 kWh로 예상되는데 전력 수요는 50,810억 kWh가 전망되므로 약 70%가 부족한 상태이다. 이 자료는 인도의 이러한 에너지 수급상의 근본적인 현안을 조명하면서 CO2 배출량 감축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신형 원전기술을 도입하는 시나리오를 MARKAL 프로그램으로서 분석하고 바람직한 원자력 선택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인도 전력 분야는 현재 추세를 반영하면서 원자력을 지속적으로 도입하면 석탄발전용량의 증가가 지속된다는 결론을 얻고 있다. 따라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화력발전을 재생에너지발전으로 대체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투자비 마련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에너지절약에 정책적인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그리고 신형 원전기술과 총체적인 에너지절약을 조합한 에너지 시나리오에서는 2045년의 전력 수요가 크게 감소하여 CO2 배출량이 현재추세 시나리오에 비해 52%나 감소한다는 결과를 얻고 있다.

○ 우리나라는 연간 CO2 배출량이 세계 7위이며 또한 배출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인도나 중국과 같은 온실가스 대량 배출국가이기 때문에 교토의정서가 종료되는 2013년 이후에는 국제사회의 CO2 감축대책에서 의무감축국가로 지정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에 따른 다양한 대책들을 마련 중에 있다. 이 자료의 결론이기도 하지만 신형 원전기술과 강도 높은 에너지 절약방안을 추진해야만 대폭적인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하다는 점을 참고해야 할 것이다.
저자
Subhash Malla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1
권(호)
38
잡지명
Annals of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31~336
분석자
이*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