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차세대 파워트레인에 대하여

전문가 제언
○ 최근의 자동차산업은 전기자동차(EV: Electrical Vehicle)의 발전적인 등장과 더불어 자동차 본래의 달리는 기쁨을 만끽하면서도 환경의 우수성은 지구 온난화 방지에 큰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오랜 과제인 차량 가격은 리튬이온전지의 양산화가 본격화 되면서 현재 약 160엔/Wh에서 2020년경에는 90엔/Wh을 밑도는 수준까지 원가를 낮출 수 있다고 한다. 항속거리도 1회 충전으로 200~250km 정도 주행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 되었다.

○ 차세대 파워트레인(Power-train)이라함은 EV를 비롯한 하이브리드 차(HEV: Hybrid Electrical Vehic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Plug-in HEV), 연료전지 차(FCV: Fuel Cell Vehicle) 등과 같은 새로운 내연기관 및 구동 시스템을 총칭하는 말이다. 차세대 파워트레인 차의 수요 예측은 2020년에 EV가 216만대, HEV가 1,092만대, PHEV가 240만대 이렇게 해서 총 1,548만대로 예측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일본이 57%, 미국이 27%, 유럽이 29%, 중국이 14%로 일본을 중심으로 선진국에서의 선행적인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 완성차 메이커는 차세대 파워트레인의 연구개발의에 거액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하면서도 엔진, 트렌스미션 등 기존 엔진 차의 기능 향상도 연구개발을 지속해 나가야만 하는 상황임. 완성차 메이커는 차세대 파워트레인 차의 연구개발의 공동화와 생산위탁, 양산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및 판매력 강화를 노린 공급관계 등 차세대 파워트레인 차 개발을 둘러싸고 다양한 형태에서의 협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 현대·기아차도 ‘현대·기아 국제 파워트레인 컨퍼런스’에서 세계 각국의 다양한 환경보호 규제와 정책으로 파워트레인 개발 및 핵심기술 경쟁이 더욱 치열하다며 고성능과 친환경성을 갖춘 Nu 1.8 MPI, Tau 5.0 GDi, 후륜 8속 자동변속기를 통해 미래 자동차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신 파워트레인 개발에 더욱 매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기대하는 바가 크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세계시장에서 뒤지지 않기 위해서 EV, FCV 등의 본격적인 개발 양산에 치중할 것을 요망하는 바이다.
저자
Takashi Suzuki, Tokio Ishino, Azusa I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1
권(호)
65(3)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26~31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