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차세대 무선망의 진보된 전력관리 기술

전문가 제언
○ 항상 접속이 가능하고 언제 어디서나 통신이 가능함과 함께 무선 서비스의 증가에 따라 이동기기는 점점 더 소형화 되고 지능화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제한된 용량의 건전지로서 다양한 서비스와 다량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고 소형화를 위해서는 기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적정화하기 위한 전력관리 기술이 필수적이다.

○ 차세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은 다양한 모바일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많은 시간을 보내므로 모바일 인터넷 형태에서는 항상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현존 음성우선 무선시스템의 전력관리 방법은 음성호출 기간 동안 라디오를 ON으로 유지하면서 아이들(Idle)모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음성우선 무선망의 전력관리 기술은 차세대 무선 데이터 망에는 사용할 수 없다.

○ 본 연구는 차세대 WiMAX망과 3GPP LTE를 기반으로한 IEEE 802.16m에서 Idle모드와 Sleep모드, 3GPP LTE에서 DRX(Discontinuous Reception)을 이용하여 차세대 무선망의 진보된 효율적인 전력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 국내에서는 SK텔레콤이 2011년 7월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LTE 상용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며 LG유플러스도 7월부터 서울과 부산, 광주에서 일제히 LTE 상용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KT는 조금 늦게 2012년 1월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상용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전국망 구축은 2012년 중반이 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본격적인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내년 후반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삼성전자와 LG전자에서 LTE 스마트폰을 개발하고 있으나 LTE 스마트폰은 듀얼 밴드 칩셋을 별도로 탑재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 두께가 두텁고 전력 소모가 높은 단점이 있다. 본격적인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되는 내년 후반기에는 보다 개선된 상용화된 제품이 출시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Ronny Yongho Kim,Shantidev Mohant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48(5)
잡지명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94~102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