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밀 필름 및 시트 성형 기술
- 전문가 제언
-
○ 고정밀도 필름 및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사출성형기 등 성형 기술이 중요하다. 이는 일본 및 선진국들이 앞서 나가고 있지만 국내에서도 유진엔지니어링(주) 등이 다층필름 성형 사출기 등 각종 성형시스템을 개발 생산하여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것은 다행스런 일이다.
○ 디스플레이 업계에서의 초관심사인 카본나노튜브는 일본 NEC에서 처음 발견하여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약 13개 업체가 탄소나노튜브 합성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전계방출 및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을 위해 약 3개사 정도가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탄소나노튜브를 생산하는 업체로는 일진나노텍, CNT, 제이오, 세메스 등이 있다. 시장 전망은 연평균 30% 이상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태양전지 시장의 성장은 향후 연 평균 20~40% 정도로 이루어질 것이며 태양전지용 필름 시장도 2013년까지 연 평균 24%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에서도 주력으로 개발, 생산하고 있는 태양전지의 솔라셀필름은 EVA필름과 PVF, PET필름을 적층한 형태의 BS(Back sheet)가 있는데 EVA필름은 2013년 7.3억$, BS는 11.3억$의 수요가 예상되고 있다.
○ 우리나라는 반도체 등 IT 분야 핵심 소재는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해 쓰고 있는 실정이다. 대일 수입 비중이 큰 품목으로는 TAC필름(100%), 포토레지스트(93%), PI필름(90%), 포토스페이서(83%)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정부, 대학, 연구기관 등이 합심해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해야 계속적인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Masanori Tatum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1
- 권(호)
- 62
- 잡지명
- プラスチ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6
- 분석자
- 최*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