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당뇨병의 진단과 분류

전문가 제언
○ 임신성 당뇨병을 겪으면서 태어난 아이는 태아 상태에서 당뇨환경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대사 장애를 가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임산부도 차후 성인 당뇨병에 결릴 가능성이 높다. 성인 당뇨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식생활, 생활양식을 갖게 교육시켜야 한다.

○ 자가 항체 등의 생성, 작용 기작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아서 자가 면역 생성을 방지하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조기에 자가 항체를 발견하여도 1형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방지하지 못하고 있다.

○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환자들은 인슐린 분비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적정량의 인슐린을 투여해야 정상혈당을 유지한다. 그러나 적절한 인슐린양은 순간순간 다르기 때문에 인슐린을 투여해 정상혈당을 유지하기란 극히 어려워 1형 당뇨병환자를 치료하기 어렵다.

○ 인슐린 펌프로 1형 당뇨병을 치료하고 있다. 인슐린펌프는 혈당을 측정하지 않고 환자의 혈당변화과정을 펌프에 입력해 인슐린을 분비케 한다. 그러나 생활습관, 식생활이 바뀌면 혈당조절이 전혀 안 된다. 이를 극복하려면 피부 등에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감지장치를 개발해야 한다. 많은 연구를 하고 있지만 부분적으로 성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β-세포는 인슐린 외에도 C-peptide, amylin 등 많은 종류의 단백질들을 균형 있게 생성 분비해 혈당 등 다양한 대사 작용을 정상으로 유지케 한. 2형 당뇨병은 인슐린부족뿐만 아니라 인슐린과 단백질과의 균형이 깨져서 대사 장애가 일어난다. 따라서 당뇨병치료, 연구는 끊임없이 지속해야 하는 과제다.
○ 과다하게 인슐린을 투여하면 저혈당이 자주 발생해 또 다른 대사 장애를 일으킨다. 남은 인슐린은 항원으로 작용해 자가 인슐린 항체를 만든다. 이 항체는 인슐린 분비세포를 파괴할 뿐 아니라 투여한 인슐린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계속 더 많은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저자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33
잡지명
Diabetes Car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2~69
분석자
윤*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