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기화학적 센서에 기초한 생물분석용 탄소나노튜브

전문가 제언
○ 탄소나노튜브(CNT)는 1991년에 일본 NEC 연구소의 Sumio Iijima 박사가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나노튜브의 직경은 0.5~10 nm정도이고 탄소동소체로 육각형 벌집모양의 구조를 갖는다. 흑연에서 탄소판들이 개별로 분리된 것을 글라핀(graphene)이라하는데 글라핀 박막이 말려서 나노튜브를 형성한다. 나노튜브는 단일벽 나노튜브(SWNT)와 다중벽 나노튜브(MWNT)로 분류된다.

○ 탄소나노튜브는 여러 가지 뛰어난 특성을 갖는다. 인장강도가 철강보다 100배 강하고 금속과 같은 매우 높은 전기 전도성을 나타내며 구조에 따라서 반도체 성질을 갖는다. 이런 성질에 따라 응용분야도 매우 다양하다. CNT는 콘크리트의 강도증가, 전도성 필름제조, 강력한 자석제조, 트랜지스터, 수소저장 등 이밖에도 많은 응용분야가 있다.

○ 국내에서는 각 대학과 대기업 연구소에서 CNT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탄소(나노)섬유와 튜브, 탄소나노튜 복합체, 에너지저장, 슈퍼커패시터, 이차전지용 음극소재, 가벼운 항공재료 개발,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등의 이용에 관한연구가 활발하다.

○ 또한 CNT는 강력한 전기촉매 활성과 최소의 표면오염의 성질을 갖기 때문에 전극물질로 적당하고, 생체물질 분석의 이용에 관하여 많이 연구한다. 전극과 효소사이에서 직접적인 전자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산화환원 효소의 부산물인 과산화수소와 NADH의 산화환원 반응에 대하여 매우 훌륭한 전기촉매 활성을 나타낸다. 이런 장점 때문에 주목을 받으며 앞으로 전망이 밝다.

○ 탄소나노튜브는 21세기의 꿈의 신소재로서 응용분야가 무궁하다고 할 수 있으며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새로운 응용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아직 제조방법의 한계로 연구나 활용을 위한 대량생산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 분야의 발전이 신속히 이뤄져야 할 것이다.
저자
Sandeep Kumar Vashis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29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69~188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