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팅톤병 : 분자적 근거와 치료법
- 전문가 제언
-
○ 헌팅톤병은 신경퇴행성 유전병이다. 이 병의 특징은 손발이 춤추듯 움직이는 운동 기능장애, 심한 우울증, 강박증, 자기조절능력 결여, 치매, 체중감소 등이다. 이 병은 세계적으로 모든 인종과 부족에서 나타나며 보통 10만 명당 5∼10명, 많게는 1∼3% 정도로 높게 이환된다. 발병 시기는 보통 30세에서 50세사이이며 평균적으로 37세이나 유아기부터 노년기사이에 언제든지 발병할 수 있다.
○ 이병의 발병원인은 아직 잘 모른다. 여러 가지 연구결과로 주목 받는 분자는 단백질 huntingtin(Htt)이다. 이 단백질은 상염색체 4p16.3에 있는 IT15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 이 유전자의 5‘-말단에 CAG 삼중자 반복서열이 있고, 정상적 길이는 7∼36개 CGA 반복단위를 갖는다. 그런데 헌팅톤병에서는 이 길이이상으로 CAG 단위가 연장되어 있고 발병 문턱수는 약 38개 이상이다. 이 돌연변이 Htt가 불용성 폴리글루타민 응집물을 만든다(CAG는 글루타민을 암호화하는 코돈이다). 최근에는 수용성 응집물도 발견되었다.
○ 현재 임상단계에 있는 헌팅톤 시험은 뉴런 보호전략과 글루타민 스트레스의 예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임상-전 연구는 헌팅톤병의 개시와 진행의 지연을 가능하게 하는 신경보호적 전략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인기 있는 치료전략은 돌연변이 Htt 자체를 표적하는 것인데 실험동물에서 효과가 있었다. 돌연변이 Htt의 수준을 나추면 비정상적인 단백질 상호작용이 감소한다. 또한 Htt mRNA를 표적해서 분해하기 위해 RNA 간섭(RNAi)과 anti-sense DNA oligonucleotides를 이용한 치료법이 연구되고 있다.
○ 질병치료를 위해서는 먼저 병의 원인물질을 찾아내고 이것들의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초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약품개발의 길이 열릴 수 있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의 개발도 매우 전망이 밝은 것으로 여겨진다.
- 저자
- Sylvia Krobitsc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43
- 잡지명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0~24
- 분석자
- 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