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통합 에너지 전략

전문가 제언
○ 중국의 에너지 정책은 에너지효율, 청정석탄기술, 원자력, 재생에너지, 에너지안보, 송배전망 강화로 집약된다. 중국은 에너지관련 계획과 전략적 관리, 제도를 시행해서 중국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개발에 다소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예를 들어 에너지 효율의 증가, 오염물질의 감소, 핵전력과 재생에너지의 증가와 같은 부분에서는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전체 에너지 수요의 통제 불능상태의 지속, 에너지 시스템 구조의 석탄의존과 같은 면에서 보면 아직도 성과는 미흡하다.

○ 중국에서 1차에너지의 약 70%를 차지하는 석탄은 향후 수 10년 동안 지배적인 에너지원이 될 것이다. 중국의 2010년 석탄생산 및 수요는 30억 톤을 상회할 전망으로 이는 세계의 생산 및 소비의 약 31%를 점하여 세계 최대의 생산 및 소비국이다. 중국은 석탄으로부터 80% 이상 탄소배출을 하므로, 발전부문의 가장 큰 도전 분야는 탄소배출 감소가 되고 있다.

○ 중국은 머지않은 장래에 전 세계 에너지의 22.3%를 소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기후변화와 관련 국제 압력이 높아지고 있어 에너지 절약과 경제발전을 동시에 추구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진 상황이며 중국은 12차 5개년 계획에서 신재생?청정에너지 확대 등을 포함한 에너지 시스템의 고도화를 목표로 삼고 있다
 
○ 이에 따라 중국에서는 첨단에너지 기술개발과 청정개발체제(CDM)사업, 제3국 해외자원 공동개발, 풍력 및 태양광 발전기술 공동개발 등의 사업 기회가 생기고 있으며, 에너지 전반과 해외자원개발,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관계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중국 정부가 그린에너지 기술과제를 성공적으로 시행한다면 중국은 더욱 청정하고 효율적인 석탄이용 기술로 발전 분야에서 세계시장의 선두주자가 될 것이다. 이 분야 잠재력이 무한한 중국 내수시장 확대는 한국 기업에 기회로 봐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기업은 중국 진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으로 접근하는 안목이 필요하고 정부는 적극적인 정책지원을 펼 필요가 있다.
저자
Linwei Ma, Pei Liu, Feng Fu, Zheng Li, Weidou N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36
잡지명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43~1154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