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라스틱 성형가공에 의한 인쇄기술 동향

전문가 제언
○ ‘인쇄’와 ‘플라스틱’의 관계는 재료 면에서 크게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기재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잉크에 플라스틱이 사용되는 경우이다. 기재와 잉크 모두에 플라스틱이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 본 문헌에서는 플라스틱 관련 인쇄기술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스크린 인쇄에 의한 빌드업 프린트 배선판의 전극 형성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또 한 가지의 플라스틱 적용 측면은 기능성 재료(안료)로서 잉크에 혼합된 플라스틱을 패터닝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예로서 그라비아 인쇄기술에 의한 플렉시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화소 형성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 각종 인쇄기술을 응용한 일렉트로닉스 제품 및 제조 기술은 프린터블 일렉트로닉스, 또는 프린티드 일렉트로닉스라고 불리면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은 일렉트로닉스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낮은 제조원가로 향후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경우 발광층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유기 EL 발광재료 자체가 플라스틱이다. 이것은 안료(전압의 인가에 의해 발광하는 기능을 발현시킨다)로서 역할을 하고 발광층용 잉크는 특정 용제에 고분자 유기 EL 발광재료를 용해시킴으로써 제작되고 있다.

○ 프린터블 일렉트로닉스에 대하여는 각종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잉크제트 인쇄기술, 볼록판 인쇄기술, 인쇄를 발전시킨 엠보스 기술(나노임프린트)을 사용한 것이 있다. 이들 인쇄기술에 있어서도 전이 후의 잉크 형상, 기능성 재료로서 플라스틱의 역할이 크다. 또한 엠보싱 기술인 나노임프린트 기술에서도 형상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플라스틱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의 경우 IT 강국으로서 이 분야에서는 일본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일부 핵심기술은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므로 이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
Nakashima Masayuki, Hanazono Kenic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1
권(호)
23(1)
잡지명
成型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0~34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