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질유의 탈황 및 탈금속 촉매

전문가 제언
○ 중질유의 수소화 처리공정은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잔사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유동상 촉매분해공정(RFCC, Residue Fluid Catalytic Cracking) 및 중질유의 경질유화를 목적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 1990년대의 유동상 접촉분해(FCC, Fluid Catalytic Cracking) 촉매기술은 촉매분해 공정에 급속한 발전을 가져온 제올라이트(zeolite) 촉매의 도입 이후에 효과적인 촉매 혼합이나 최단시간 분해, 잔유 제거장치 등의 공정을 발전시켜 왔다. 또한 한정된 양의 원유로부터 휘발유 등의 고급 경질유를 얻기 위해서는 상압 증류 후의 남은 잔사-유에 대한 경질화가 필요하다.

○ 일반적으로 잔사-유에는 많은 양의 황과 금속 및 아스팔텐(asphaltene)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고 높은 방향족 성질을 가지며 낮은 수소/탄소 비율에 의해 전반적인 분해도(crakability)가 낮다. 최근에 석유매장량의 한계와 고급-유의 높은 부가가치로 인하여 잔사-유의 경질유화를 위한 공정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 이 자료는 중질유의 수소화 탈황 촉매 및 수소화 탈금속 촉매반응을 경질유의 경우와 비교 검토하고 있다. 수소화 촉매반응은 황 성분의 제거뿐만 아니라 바나듐과 같은 불순물 금속의 제거에도 활용된다. 중질유는 경질유에 비하여 분자량이 크고 반응성이 낮지만 중질유 처리의 탈황이나 탈금속에 사용되는 촉매 자체는 경질유 처리에 사용되는 촉매와 동일하며 다만 촉매의 수명이 짧을 뿐이다.

○ 우리나라는 원유를 수입하여 국내에서 정제함으로써 국내의 석유 수요를 충당하고 있으며 남은 석유 정제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SK 이노베이션(구 SK에너지), GS 칼텍스, S-Oil 등의 정유공장에서도 중질유의 수소화 탈황, 탈금속 촉매분해 반응 및 잔사-유의 결질화 분해공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저자
T. Iwa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89(3)
잡지명
日本エネルギ―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18~223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