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시맨틱 웹 기반 소셜 네트워크 접근통제

전문가 제언

○ 최근 국내외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새로운 정보 유통 경로와 마케팅 기회 제공과 바람직한 기업 분위기 조성 등의 다양한 유익을 제공하는 반면에, 해킹 및 바이러스 유포 등의 전통적인 보안위협과 프라이버시 침해, ID 도용 등의 사회적 위협을 악용한 각종 범죄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의 보안위협에 대해, 국외 보안 전문연구기관인 팔로 알토 네트웍스는 기업에서 소셜 네트워크 관련 정책 수립 시 고려해야 할 10가지 위험요소를 발표했으며, 국내 안철수 연구소도 소셜 네트워크 보안위협을 2010년도 핵심 위협으로 선정 하였다.

○ 국내에서는 한국정보보호학회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전문연구기관들이 SNS 보안위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NETSEC KR 등의 학술대회를 통해 꾸준히 연구결과가 발표되는 추세이다.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 및 관련 산업계 그리고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소셜 네트워크의 역기능 제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업자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와 불건전 정보 유통 또는 저작권 침해 등을 감시하기 위한 필터링 및 모니터링 기술과 강화된 사용자 인증절차 적용이 필요하며, 이용자들은 자신의 개인정보와 기업비밀 누출에 대해 심각한 주의가 필요하다

○ 본 논문에서는 시맨틱 웹 기술 기반 소셜 네트워크 접근통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확장 가능한 온톨리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기술에 의해 동작되는 다양한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에 적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 국내에서도 최근 소셜 네트워크 커머스 등 소셜 네트워크 기반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 및 운영이 활성화되는 추세이다. 서비스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뿐만 아니라, 서비스 이용자를 통한 기업 및 국가 주요정보 불법누출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시맨틱 웹 기반 접근통제 기술 개발을 위한 국가적 차원이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
Barbara Carminati, Elena Ferrari, Raymond Heatherly, Murat Kantarcioglu,Bhavani Thuraisingha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1
권(호)
30
잡지명
Computers & Security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08~115
분석자
고*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