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기술 기업의 국제화
- 전문가 제언
-
○ “신생기술 기업의 국제화”를 주제로 하고 있는 본 논문은 전통적인 국제화 프로세스이론과 국제적인 신 벤처이론의 논증을 결합하고 기술기업의 외국시장 친숙의 전후 진출 전례를 연구하기 위하여 창업과정 견해를 개발함을 목적으로 하고, 기술기업이 외국시장에 더 친숙하게 되면 외국시장 전념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중심적인 논의로 하면서 국제화 진출단계로부터의 사회적 및 상황적 요인이 어떻게 신생기술 기업의 인지된 외국시장 친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 외국시장 친숙은 핵심적인 구성개념이고, 기술기업은 사전 대비적이면서 체계적인 방법으로 국제화된다는 분석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특히, 현지국의 제도 및 사업환경에 친숙하지 못하게 되면 기술기업이 외국시장 개발 및 성공을 저해하는 고비용의 오류를 저지르게 되므로 외국비용(Liabilities of Foreignness)을 극복하고, 이러한 오류를 피하기 위해 신생기술 기업이 신속히 외국시장에 친숙하게 되는 것이 필수적인 것으로 강조된다.
○ 오늘날 글로벌경제에서 산업구조가 고도화되고 기술향상이 보편화되면서 글로벌 마케팅시대에 있어서 기술기업이 외국시장에 친숙할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외국시장 친숙이 국제경쟁력 유지의 핵심요소가 되고 있다. 대표적인 신생기술 기업의 국제화는 인도의 신생기술 기업의 국제화로 인도의 신생기술 기업이 미국 실리콘밸리에 거점을 두고 개발?생산된 제품을 인도시장에 판매하는 비즈니스모델을 들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신규 창업자와 신생기술 기업에 대해 여러 가지 지원이 제공되고 있는데, 신생기술 기업은 유망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으로 창업 2년 이상 5년 이내의 중소기업이다. 본 논문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 신생기술 기업들의 국제화가 확대되고, 외국시장에 신속히 친숙하게 되어 그들의 성장과 성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업의 노력과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
- 저자
- Christian Schwens, Ruediger Kabs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1
- 권(호)
- 20
- 잡지명
-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60~74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