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육우 생산 모델
- 전문가 제언
-
○ 비육우 생산 모델은 축산 발전 단계에서 꼭 필요하다. 일반 연구 수행 시에는 idea를 모아서 가설을 세우고 동물시험을 수행해서 결과를 얻지만 모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목표를 정하고 모델을 만들어서 simulation을 해서 결과를 얻고 있다.
○ 모델을 만들면 세 가지 이점이 있는데 첫째는 전통적인 연구 방법을 보완할 수 있다. 즉 모델을 만드는 과정에서 기존의 지식과 자료를 통합해서 연구 계획을 작성하는 데 필요한 뼈대를 제공할 수 있고 실제 동물시험을 수행해서 얻은 결과를 계량화할 수 있다. 둘째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 연구 수행자들이 여러 분야의 문제들을 망라할 수 있도록 한다. 왜냐하면 여러 분야에 관련된 토론을 하면서 모델 작성에 필요한 여러 요인들을 통합하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 세 번째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 연구는 물론 강의에도 도움이 된다. California 대학교에서는 지난 20년 동안 대학생 영양학 강의에 컴퓨터 simulation model을 사용해 왔다. 축우 대사를 강의하는 데 simulation model이 유용하기 때문이다.
○ 축산분야에서 모델을 이용하는 것이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새로운 정보를 조직하고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그러나 축산분야에 관한 모델을 만들려면 많은 동물시험을 수행해야 하므로 연구수행 경력이 짧은 나라에서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어느 정도는 자료가 축적되어 있으므로 시도는 할 수 있다고 본다.
- 저자
- Hiroyuki Hirook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81
- 잡지명
- Animal Science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11~424
- 분석자
- 안*홍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