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라마솜 연관 질환의 유전적 및 분자생물학적 기초
- 전문가 제언
-
○ 본 리뷰는 인프라마솜-연관 질환의 유전적 및 분자생물학적 기초에 대한 최근까지의 연구 성과들을 살펴 본 것으로써, 유전성 열병 증후군이나 희귀 멘델성 증후군들, 자가염증성 질환군에서 주된 조절자인 인플라마솜 구성단백질들에 의한 구성 모델과 그 활성화 기전에 의한 IL-1β의 활성화 기구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인플라마솜이 선천면역계와도 연관이 있고, 병원체들에 대한 숙주의 반응, 내부 위험신호나 비병원성 염증성 자극에 대한 숙주의 반응 등 여러 면에 관련되어 있음을 살펴 본 내용이다.
○ 인프라마솜이 외부 유래 인자-유발성 염증 질환들 및 자가염증성 질환들의 주된 조절자로 밝혀짐에 따라 IL-1 저해제들을 이용한 새로운 임상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IL-1-표적 치료법의 등장으로 IL-1β 과다에 의한 원인 불명의 염증을 잡고, 후유증을 막을 수 있게 되었다. 인플라마솜-중개성과 IL-1β-중개성 질병들이 확대 돼가고 있는 현실이지만, 아직 IL-1-표적 치료법에 대하여 증거들이 부족한 실정이므로 실질적 사용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본다.
○ 인플라마솜에 의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것은 극히 최근에 알려진 것이며, 국내의 면역학자들 중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극소수인 것으로 알고 있다. 인프라마솜 활성화가 외인성 및 내인성 활성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이를 기초로 한 관련 질환 치료 기술 개발에 응용한다면 매우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본다. 한편, 인플라마솜 작용기전에서 미흡한 부분들에 대한 지속적인 기초 연구도 요구된다.
- 저자
- Hoffman HM and Brydges SD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286(13)
- 잡지명
- Journal of Bilogical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0889~10896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