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터리브를 이용한 싱글 슬로프 AD변환기용 고속 램프파형 발생기

전문가 제언
○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센서는 등가회로 단위의 각 화소마다 증폭기를 가지고 있어 각 화소에서 광전하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노이즈가 발생한다. 또한 화소마다 고정된 증폭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증폭특성에 의한 고정 패턴 노이즈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정할 필요도 있다.

- 또한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와는 달리 각 화소마다 전하를 전류로 변환하여 전송해야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많이 걸린다. 지금까지는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고속연사와 같은 연속사진 촬영에서는 CCD보다 CMOS가 불리한 입장에 있었다.

○ 이미지센서에서 신호 처리의 고속화는 스포츠 사진, 특수 기록사진 등에서 매우 유리하다. 카메라 제조사에서는 이미지 처리기술로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고는 칩 내 회로간의 신호전송 속도의 증가를 목적으로 하는 타이밍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써 일본 Hitachi, Sony, 삼성전자 등에서도 특허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신호전달체계에서 CMOS 센서의 고속 처리가 어려웠으나 회로기술의 발달로 문제점들이 차츰 해소되어가고 있음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 CMOS 이미지센서의 “싱글 슬로프형 A/D”에서 양자화 오차를 TDC로 재 측정하는 방법으로 후단 TDC의 변환 비트 수에 대응하여 2n배의 고속화가 실현된다. 본고는 복수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의 다중 처리로 출력을 가산하여 고속화를 실현한 경우로서 0.25um CMOS 공정에서 전류제어 형 다중 가산 DAC의 구현을 확인한 내용이다.

○ 오늘날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CMOS 이미지센서를 채택하고 있다. Canon Co.는 CMOS 이미지센서를 2002년부터 DSLR 기종에 채택하였고 Nikon의 최고급 DSLR D3s, D3x 등에도 CMOS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삼성테크윈의 DSLR `GX-20'도 CMOS 센서를 채택했다. 이미지 처리용 칩셋 및 회로기술이 날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CMOS 이미지센서는 디지털 광학분야에서 주요 부분으로써 성장을 계속할 것이다.
저자
Yukinobu MAKIHARA, Mhun SHIN, Masayuki IKEBE, Junichi MOTOHISA, Eiichi SA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34(29)
잡지명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技術報告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89~93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