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센서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바이오센서란 특정한 물질에 대한 인식기능을 갖는 생물학적 수용체가 전기적 또는 광학적 변환기와 결합되어 생물학적 상호작용 및 인식반응을 전기적 또는 광학적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소자이며, 여기서 물질은 DNA, 혈당과 같은 생체물질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화학물질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수용체는 분석물질을 선택적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변환기가 측정할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효소, 단백질, DNA, 세포 같은 생체분자이다.

○ 최근 생명과학분야에 반도체기술이 광범위하게 응용되어 나노기술을 구사한 초고감도계측이나 유로(流路), 펌프, 밸브 등 유체제어소자와 분석을 위한 검출부, 일렉트로닉스를 집적화한 화학분석시스템(Micro-Total Analysis System, μTAS) 같은 종래의 바이오센서 개념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 이 해설논문은 최근 발전하고 있는 나노구조를 사용한 바이오센서 및 생체분자 전기계측의 구체적 예인 바이오트랜지스터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것이다.

○ 바이오트랜지스터의 설계는 게이트 계면의 나노구조제어, 특정분자에 대한 인식능력, 신호전달성 부여 등이 포함되어 있어 기초화학의 기여가 필수적이다. 종래의 실리콘반도체로는 실현할 수 없는 새로운 특성과 기능을 갖는 정보처리디바이스로서 이온일렉트로닉스분야가 발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 국내 바이오센서 시장은 (주)올메디쿠스 등 몇 개의 벤처기업에서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분야는 90%이상의 의료용 바이오센서로, 다른 분야의 관심이 적은편이다. 바이오센서가 국산화 되었으나 아직 외국제품의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앞으로 나노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바이오센서의 개발로 국제경쟁력을 확보해야할 것이다.

저자
A. Matsumoto, Y. Miyaha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1
권(호)
80(3)
잡지명
應用物理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205~210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