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100Gb 이더넷 광 송수신기

전문가 제언
○ 인터넷의 대중화와 발전은 컴퓨터 간의 통신 프로토콜로 출발한 이더넷 기술의 발전을 촉진시켜 왔으며 IPTV, VoIP 및 웹 응용에 기반을 둔 IP(Internet Protocol)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IP중심 통화량의 급속한 증가 등으로 이제 광대역 시대를 넘어 초 광대역 시대를 바라보고 있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 광 트랜시버는 전송 시스템의 가격과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으로 현재 10 Gb/s급의 제품이 시장에서 전성기를 누리고 있고 40 Gb/s급 제품은 대용량 데이터 센터와 백본 네트워크에서 초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단계에 와 있으며 100Gb/s급 광 트랜시버는 2010년 표준화가 완료되고 효율적인 광 전송을 위한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는 단계에 와 있다.

○ 본 연구는 100GbE 클라이언트 상호 접속과 전송을 위한 CFP MSA와 OIF 100G 트랜스폰더 모듈 IA에 대하여 각각의 개요와 상태를 기술하고 있으며 국내 100Gb/s급 광 트랜시버 개발에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국내에서는 28Gbaud의 심볼 속도를 이용하면서 두 개의 캐리어와 DQPSK 변복조 방식을 이용하는 DC-DQPSK(Dual Carrier-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방식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개발 중에 있고 조속히 실상용화 하여 경쟁력을 갖출 것을 기대한다.

○ 지금부터 전개될 40G, 100G 이더넷 시장을 목표로 정부와 출연 연구소 및 기업체가 긴밀하게 협력하여 국내 관련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나아가 100G 이후를 대비한 400G/1T용 광 전송 신호처리 기술 등 미래 원천 기술을 확보하는 것에도 관심을 기울였으면 한다.
저자
Jon Anderson and Matthew Travers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48(3)
잡지명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5~40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